Reading Times

반응형

6.25전쟁이라고 부르는 한국 전쟁, 그 시작은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였습니다. 

북한의 암호명 '폭풍 224'라는 계획에 따라서, 북위 38선 아래의 남한 땅에 선전포고 없이 기습적으로 침공이 이루어지면서 발발한 전쟁입니다. 

 

 

 

유엔군과 중국 인민군이 함께 참여한 국제전쟁으로 확대되었으며, 총 3년 1개월간 전쟁이 이어졌고,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이 극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6.25 전쟁은 종전을 선서하는 평화협정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엄연히 말하면 아직도 전쟁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휴전상태인 겁니다. 

역사상 가장 긴 휴전상태를 유지하는 국가가 바로 한반도입니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나면서 시작된 냉전구도가 폭발하여 발발한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6.25 전쟁이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2차 세계대전 당시 연합군이었던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 중국이 어떻게든 이 전쟁에 발을 디디게 된 것입니다. 

 

 

 

6.25로 가장 큰 부를 얻은 곳은 아이러니하게도 일본이었고, 군수물자를 이용하여 일본이 경제적으로 크게 부흥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 당시 내부적인 문제로 상황이 안 좋았던 중국이 전쟁에 참여하면서 시선을 외부로 돌리는데 성공하고 살아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6.25 전쟁의 명확한 원인이나 기원은 아직도 서로 다른 주장들이 많이 나오고 있어 정확하게 정해진 정설은 없습니다. 

 

다만 소련의 기밀문서가 해제되면서 지금에서야 김일성의 남침야욕이 전쟁의 주요 원인이었다는 것에는 모두가 동의하는 바입니다. 

 

 

 

6.25 전쟁이 무조건 한반도 내의 국지전으로 가야 한다는 의견을 가진 미대통령 (트루먼)은 그 당시 맥아더 장군을 눈에 가시 처럼 여겼고 결국 해임 후 미국으로 복귀를 시켜버립니다. 

 

그리고 청문회장에서 맥아더 장군은 모든 진실 (백악관)을 까발려 버립니다. 

 

 

 

6.25 전쟁의 발발 이유나 전쟁 종식에 대한 부분은 아직도 논란이 많으나, 어찌되었건 양쪽 모두 한국전쟁이 제 3의 세계대전으로 번지는 것을 막고 싶었고, 그런 부분이 3년만에 전쟁이 마무리 되는 단계로 진행된 것 아니냐는 의견도 있습니다.

 

 

 

 

 

6.25 당시 중국군의 만행에 대한 자료 

수용소에 있던 포로 일부는 손이 뒤로 묶인 채 살해되었고, 부상당한 포로들은 수류탄 혹은 몸에 기름을 부어 불을 붙여 태워 죽였다.

중국군에게 잡힌 UN군 포로 중 건강하거나 걸을 수 있는 상태의 부상자들은 수용소까지 걸어갔고, 심각한 부상을 입은 자들은 그 자리에 버려두고 가거나 총살시켰다. 포로들이 죽은 이유는 대부분 위생관리 부재, 식량 부족, 이질, 폐렴 등이었다. 중국군들은 소량의 식량을 주거나 아예 주지 않았고, 배급된 식량 또한 영양가가 없었다.

또 중국군은 포로들을 자그마한 철장에 가두고 살을 에는 추위에 맨발로 서 있게 하거나 찬물에 몸을 담갔다 빼게 하곤 했다. 적군은 포로들을 두들겨 패고 물로 가득한 구덩이에 한동안 집어넣기도 했다.

죽음의 수용소들 중 한 곳은 '동굴'이라는 이름의 수용소였다. 이곳에 보내진 포로들은 담요도 없고, 화장실 시설도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생활했다. 벨리 아타소이 병장은 이러한 포로수용소들 중 한 곳인 450M짜리 터널에서 며칠을 지냈는지 모르며, 이틀에 한 번 주 모래 섞인 보리밥을 먹으며 목숨을 부지했다고 한다.

- '터키인이 본 6.25 전쟁' 지음 : 알리 데니즐리, 옮김: 이선미, 감수 이난아

 


 

 

 

장진호 전투 제 3 일 째인 11월 30일 저녁까지 사망자는 수백 명에 이르렀으나 땅은 얼어 붙어서 파지지 않았다. 시체들은 잘라 놓은 목재처럼 세 겹, 네 겹으로 쌓아 올려졌다. 12월 1일 오후 1시를 기해 포위 돌파전은 오후 늦도록 일대도살극을 연출했다. 이날 오후 늦게 대열이 유린 되자 중국군은 부상병들이 실려 있는 트럭으로 기어 올라가서 무력하게 누워 있는 아군 부상병들을 쏘고, 찌르고 했다. 또 어떤 차에 휘발유를 끼얹어 부상병들을 산 채로 불태우기도 했다. 대열을 벗어나 도망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그것은 명백하고 완전한 살인이었다. 나는 열두 평생을 살아도 다 하지 못할 너무도 많은 아픔과 피, 죽은 자와 다친 자들을 보았다.

- 미 육군 7사단 제임스 블롬 하사의 증언

 

 

 

우리 민족의 뼈아픈 역사였던 6.25, 다시는 일어나지 말아야 할 일이지만 절대 잊지도 말아야 할 일입니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